고려 시대 시장과 교역. 개경과 서경의 시장, 시전과 경시서, 벼슬아치와 상인의 관계, 송·여진·일본과의 대외 무역을 통해 본 고려 경제와 국제 질서를 정리했습니다. 한능검 대비 필수 주제.
고려 시대 시장과 교역: 벼슬아치부터 상인까지
안녕하세요, 쉽게 배우는 한국사입니다.
오늘은 한국사에서 자주 등장하는 고려 시대의 시장과 교역을 살펴보겠습니다. 고려는 농업 중심 사회였지만, 점차 상업과 무역이 발달하면서 귀족·벼슬아치부터 일반 상인까지 경제 활동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이는 고려가 단순한 농업 국가가 아닌, 동아시아 교역망 속의 중요한 국가였음을 보여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려 시대 시장 구조, 교역 형태, 상인들의 활동, 그리고 그 사회적 의미를 자세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1. 고려 경제의 기본 구조
(1) 농업 중심
- 고려 경제는 기본적으로 농업에 의존했습니다.
- 백성 대부분은 농민이었고, 세금 역시 토지와 농산물 중심으로 거두었습니다.
(2) 상업의 성장
- 11세기 이후 농업 생산력이 향상되면서 잉여 생산물이 늘어났습니다.
- 이는 시장 교환을 활성화시키고, 상업의 성장으로 이어졌습니다.
👉 농업의 안정은 상업 발달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2. 고려 시대 시장의 발전
(1) 개경과 서경의 시장
- 수도 개경(현재 개성)은 고려 최대의 상업 도시였습니다.
- 서경(평양) 역시 지역 상업의 중심지로 성장했습니다.
- 이곳에는 상설 시장이 존재했으며, 매일 일정한 시간에 개장했습니다.
(2) 시전(市廛) 제도
- 개경에는 시전이라는 상점이 설치되었습니다.
- 국가가 허가한 상인들만 영업할 수 있었고, 특정 물품을 독점적으로 판매했습니다.
- 대표적으로 경시서가 시장을 관리하고, 물가를 조절했습니다.
👉 이는 고려가 이미 국가 주도의 상업 통제 체제를 갖추고 있었음을 보여줍니다.
3. 벼슬아치와 경제 활동
(1) 귀족과 토지 지배
- 고려의 문벌귀족과 벼슬아치들은 대규모 토지를 소유했습니다.
- 농민이 납부하는 조세와 공납, 그리고 소작농의 수확물을 통해 부를 축적했습니다.
(2) 벼슬아치의 소비
- 귀족과 벼슬아치는 중국과 아라비아에서 수입한 고급 비단, 약재, 자기 등을 소비했습니다.
- 이들의 사치 소비가 국제 교역의 수요를 자극했습니다.
👉 귀족들의 생활양식은 고려 상업과 국제 교역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4. 고려 상인의 활동
(1) 일반 상인
- 시장에서 농산물, 수공업품, 생활용품을 거래.
- 장터는 지방에서도 열려 농민과 상인의 교류가 활발했습니다.
(2) 관영 상인과 사상
- 고려에는 관청에 속해 활동하는 관영 상인이 있었습니다.
- 또한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사상(私商)**도 성장하여 물품을 유통했습니다.
(3) 벼슬아치와 상인의 관계
- 상인들은 귀족과 관료들에게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며 경제적 기반을 다졌습니다.
- 그러나 신분 사회에서 상인은 여전히 낮게 평가되었고, 귀족 중심의 경제 구조에 종속적이었습니다.
5. 고려의 대외 교역
(1) 송나라와의 교역
- 고려는 송나라와 활발히 무역했습니다.
- 수출품: 금, 은, 인삼, 화문석, 서적.
- 수입품: 비단, 약재, 자기, 서적.
(2) 여진, 일본과의 교역
- 여진과는 말, 모피, 꿀 등을 교환했습니다.
- 일본에는 곡물, 인삼 등을 수출하고, 황과 황철을 수입했습니다.
(3) 아라비아 상인과의 교류
- 개경에는 아라비아 상인들도 찾아왔습니다.
- 고려는 동서 교역로의 중요한 거점이었습니다.
👉 고려는 단순한 농업 국가가 아니라, 동아시아 국제 무역망의 중심 국가였습니다.
6. 고려 교역의 특징
- 국가 주도 상업 통제 – 경시서와 시전을 통한 시장 관리.
- 귀족 소비 중심 – 국제 무역의 주요 수요층은 벼슬아치와 귀족.
- 다양한 교역 상대 – 송나라, 여진, 일본, 아라비아 상인.
- 화폐 유통의 한계 – 고려 초반에는 물물교환 중심, 후반에는 화폐(은병 등) 사용 확대.
7. 고려 상업과 사회적 의미
- 고려 상업은 농업 중심 사회에서 점차 자급자족을 넘어 교환 경제로 발전하는 과정이었습니다.
- 귀족과 벼슬아치의 소비가 국제 교역을 자극했으며, 이는 곧 문화 교류로 이어졌습니다.
- 비록 상인의 지위는 낮았지만, 이들의 활동은 고려 경제를 유지하는 중요한 축이었습니다.
8. 한능검·수능 대비 포인트
- 고려 시장: 개경, 서경 → 상설 시장 존재.
- 경시서: 시장 감독 기관.
- 시전: 국가 허가 상점, 특정 물품 독점.
- 대외 교역: 송나라, 여진, 일본, 아라비아 상인과 교역.
- 특징: 귀족 소비 중심, 국가 통제 상업.
👉 시험에서는 “시전, 경시서, 송나라와의 교역”이 핵심 포인트로 자주 출제됩니다.
✅ 강사의 한마디
저는 학생들에게 고려 경제를 “농업 사회에서 상업 사회로 넘어가는 다리”라고 설명합니다. 고려는 여전히 농업에 기반했지만, 시장과 교역의 성장 덕분에 상업적 활력이 생겼습니다. 또한 귀족과 상인의 관계, 국제 교역을 통해 고려의 위상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핵심 정리
- 고려 시장: 개경과 서경 중심, 경시서와 시전 설치.
- 귀족과 벼슬아치: 토지 지배, 사치 소비로 국제 교역 발전 유도.
- 상인: 관영 상인과 사상 활동.
- 대외 교역: 송·여진·일본·아라비아와 교류.
- 의의: 고려는 동아시아 국제 교역망의 중요한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