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한글날 제정의 역사와 의미

한국사 알리미 2025. 9. 17. 17:13

한글날 제정의 역사와 의미.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가갸날에서 한글날로의 변천, 공휴일 지정 과정, 세계기록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정리했습니다. 한능검 대비 필수 주제.

 

한글날 제정의 역사와 의미

안녕하세요, 쉽게 배우는 한국사입니다.
매년 10월 9일, 우리는 한글날을 기념합니다. 이날은 단순히 문자 기념일이 아니라,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의 우수성과 역사적 가치를 되새기는 날입니다. 한글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지켜온 가장 중요한 문화유산 중 하나이자,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과학적 문자입니다. 그렇다면 한글날은 어떻게 제정되었고, 어떤 의미를 갖고 있을까요?

 

한글날 제정의 역사와 의미


1. 한글 창제와 반포

(1) 한글 창제

  • 1443년(세종 25년), 세종대왕은 집현전 학자들과 함께 새 문자 창제를 완성했습니다.
  • 1446년(세종 28년), 훈민정음이 반포되며 백성들이 읽고 쓸 수 있는 길이 열렸습니다.

(2) 훈민정음의 목적

  • 『훈민정음 서문』에 기록된 대로, 세종은 백성이 쉽게 배우고 사용할 수 있는 문자를 만들고자 했습니다.
  • 이는 당시 한자를 배우기 힘들었던 서민들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한글은 문자 민주주의의 상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2. 한글날 제정의 배경

(1) 조선 후기~일제강점기

  • 조선 후기에는 한글이 여성과 서민 사이에서 널리 퍼졌습니다.
  • 그러나 공식적으로는 여전히 한자가 중심이었고, 한글의 위상은 낮았습니다.
  •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어 사용이 강요되며 한글이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

(2) 한글 연구와 민족운동

  • 주시경 선생과 조선어학회는 한글 연구와 보급에 힘썼습니다.
  • 1926년,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한글 반포 기념일을 처음 제정했습니다.

👉 이는 일제의 탄압 속에서 민족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운동이었습니다.


3. 한글날의 변천사

(1) 가갸날에서 한글날로

  • 1926년, 조선어학회가 훈민정음 반포 480주년을 기념해 11월 4일을 ‘가갸날’로 정했습니다.
  • 이후 1928년부터 ‘한글날’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2) 광복 이후

  • 1945년 광복 후, 한글날은 다시 중요한 국가 기념일로 자리 잡았습니다.
  • 정부는 1949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공식 제정했습니다.

(3) 법정 공휴일 지정과 논란

  • 1991년, 공휴일에서 제외되면서 논란이 있었습니다.
  • 그러나 국민적 여론과 한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며, 2013년 다시 법정 공휴일로 지정되었습니다.

👉 오늘날 한글날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중요한 기념일입니다.


4. 한글날의 의미

(1) 민족 정체성 확립

  • 한글은 한국인의 언어와 문화를 지탱하는 뿌리입니다.
  • 한글날은 민족의 자긍심을 되새기는 날입니다.

(2) 과학적 문자로서의 가치

  • 한글은 발음 기관을 본떠 만든 과학적 문자 체계입니다.
  • 유네스코가 인정한 세계적으로 가장 우수한 문자 중 하나입니다.

(3) 문화 보존과 계승

  • 세계화 시대에도 한글날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보존하고 전파할 수 있습니다.

(4) 국제적 의미

  • 1997년, 『훈민정음 해례본』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 유네스코는 문맹 퇴치에 기여한 인물이나 단체에게 세종대왕 문해상을 수여하고 있습니다.

👉 한글날은 단순한 기념일이 아니라, 세계 속 한국 문화의 위상을 확인하는 날입니다.


5. 한글날 기념 활동

  1. 기념식 개최 – 정부와 각 단체가 한글날 기념식을 열어 훈민정음 반포의 의미를 되새깁니다.
  2. 학술 대회 – 한글의 우수성과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합니다.
  3. 문화 행사 – 서예 대회, 글짓기 대회, 한글 디자인 공모전 등이 열립니다.
  4. 대중 참여 – 학교, 기관에서 한글날을 맞아 다양한 교육 활동을 진행합니다.

6. 한능검·수능 대비 포인트

  • 한글 창제: 1443년 창제, 1446년 반포.
  • 훈민정음 서문: 백성을 위한 문자.
  • 한글날 기원: 1926년 가갸날 제정.
  • 광복 후: 1949년 10월 9일 한글날로 제정.
  • 2013년: 다시 법정 공휴일로 지정.

👉 시험에서는 “한글날의 기원과 의미”가 자주 출제됩니다.


✅ 강사의 한마디

저는 학생들에게 한글날을 “세종대왕의 선물을 기념하는 날”이라고 설명합니다.
한글은 단순한 문자 체계를 넘어, 한국인의 정체성과 문화를 지탱하는 뿌리입니다.
따라서 한글날은 과거를 기리는 동시에 미래를 준비하는 문화적 자산의 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핵심 정리

  • 한글날: 훈민정음 반포를 기념하는 날, 매년 10월 9일.
  • 기원: 1926년 가갸날 → 1928년 한글날.
  • 광복 후: 1949년 국가 기념일로 제정.
  • 의미: 민족 정체성, 과학적 문자 가치, 세계적 문화유산.